티스토리 뷰
목차
1) 시험 개요와 역사적 맥락
- 1992년 12월 9일 첫 시행 이후, 한자어 중심의 어휘력·문해력 강화와 전통문화 이해를 목적으로 운영되어 왔습니다.
- 2001년부터 3급Ⅱ 이상은 국가공인(교육부 공인) 민간자격으로 인정되어 공신력과 활용도가 높습니다. (해당 제도는 장기간 유지되어 왔으며, 회차 표기와는 별개입니다.)
2) 급수 체계·평가 기준·출제 경향(요지)
- 합격 기준: 일반적으로 2급~8급 70% 이상, 상위(특급·특급Ⅱ·1급)는 80% 이상 득점.
- 문항 성격: 한국어문회는 전통적으로 주관식 비중이 높고 ‘쓰기’ 평가가 엄격합니다(해서체 기준).
- 유형 예시: 독음·훈음·한자쓰기(6급Ⅱ부터 본격), 사자성어(완성형), 반·동의어, 약자, 부수 등.
실무 팁
- 쓰기 파트가 득점 분모를 크게 좌우하므로, 6급Ⅱ 이상 준비자는 실제 써보는 반복 훈련이 필수입니다.
- 3급 이상은 범위·난도·주관식 비중이 커 기출 회독 + 오답노트가 합격률을 가르는 핵심입니다.
3) 응시·운영: 2025년 기준에서 본 변화 포인트
- 연 4회 정기시험(2·5·8·11월) + 수시시험(민간자격 위주)로 응시 기회 확대: 정기 시험을 놓친 수험생은 수시로 보완 가능(수시 고사장은 지역이 제한적일 수 있음). 일정은 수시로 변동되므로 접수 전 공식 공지를 반드시 재확인하세요. (인포타민)
- 접수·발표의 디지털 전환: 인터넷 접수(기간 엄수), 합격자 온라인 확인·자격증 출력 등 사용자 경험이 지속 개선되는 추세입니다. (기관 공지 기준)
4) “제12회”를 둘러싼 세 가지 해석과 정리
표현 | 실제 의미 | 2025년 적용성 |
---|---|---|
누적 회차 의미의 ‘제12회’ | 1990년대 초반의 초기 회차 번호 | 아님. 2025년은 제108~111회 사용. (인포타민) |
‘10~12회’=해당 연도 N번째 정기시험 | 한국어문회는 연 4회 체제 | 아님(연 4회가 원칙). 수시 포함 시 연간 기회는 늘 수 있으나 ‘정기 12회’ 체계는 아님. (인포타민) |
‘12회’=급수(12급) | 한국어문회 최저 급수는 8급 | 아님. ‘10급·12급’ 같은 급수는 한국어문회 체계에 없음. |
5) 실전 준비 로드맵(급수 공통)
- 기본서 2~3회전: 배정 한자(읽기/쓰기)·사자성어·부수·약자 정리 → 회독마다 체크리스트 축소.
- 기출 8~10회분 + 오답 루프: 같은 유형을 반복해서 틀리는 ‘습관오답’을 리스트화.
- 쓰기 근력 강화(6급Ⅱ 이상): 획·균형·해서체 기준으로 ‘짧게 자주’ 훈련.
- 시간 관리 실전화: 실물 OMR/답안 양식으로 시뮬레이션
- 막판 압축: 빈출 사자성어·혼동 한자쌍·반/동의어 미니카드로 휴대 복습.
⭐기출문제 다운로드⭐
한국어문회 1급 12회.pdf
0.60MB
한국어문회 2급 12회.pdf
0.50MB
한국어문회 3급 12회.pdf
0.42MB
한국어문회 4급 12회.pdf
0.33MB
한국어문회 5급 12회.pdf
0.19MB
한국어문회 6급 12회.pdf
0.17MB
한국어문회 7급 12회.pdf
0.19MB
한국어문회 준3급 12회.pdf
0.46MB
한국어문회 준4급 12회.pdf
0.23MB
한국어문회 준6급 12회.pdf
0.15MB
🙆♂️ 부족한 자료는 구하는 즉시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