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1) “10회”가 무엇을 뜻하나요?

    1. 제10회(누적 회차)
      1992년 출발 이후 초창기(90년대 초) 회차를 지칭. 구체 통계는 공개 자료가 제한적이나, 주관식 비중 높고 70% 합격선 등 기본 철학은 현재와 유사.
    2. 급수 오기(‘10급’)
      한국어문회에는 10급이 없습니다. 최하위는 8급.
    3. 연간 ‘10번째’ 시험 기회
      정기시험(연 4회) + 수시시험을 합치면, 개인 입장에서 연 10회 이상 응시 기회가 현실적으로 발생.

    2) 시험 개요 & 공신력

    • 주관: 사단법인 한국어문회
    • 첫 시행: 1992.12.09
    • 공신력: 3급Ⅱ 이상 국가공인(입시·학점·임용 가산·기업 가점 등 실익), 4~8급은 등록 민간자격(학습 성취/상위 급수 디딤돌).

    3) 급수 구조 핵심 정리

    구분 급수 비고
    국가공인 특급 · 특급Ⅱ · 1급 · 2급 · 3급 · 3급Ⅱ 공신력·활용도 높음
    등록 민간 4급 · 4급Ⅱ · 5급 · 5급Ⅱ · 6급 · 6급Ⅱ · 7급 · 8급 기초~중급 학습 단계
    부재 9급/10급 없음 한국어문회 기준

    8급 대표 스펙: 배정 50자, 50문항/50분, 합격선 70%(35/50), 쓰기 문제 없음(한글로 훈음 기재 정확성 중요).


    4) ‘제10회’(초창기)와 현재의 공통점·차이

    • 공통: 독음·훈음 중심, 완성형/뜻풀이/필순·반의(상대) 등 활용·이해형 평가, 주관식 비중, 합격선 70%(특급~1급은 80%).
    • 차이: 접수·발표가 온라인 중심, 수시시험 확대, 기출·예상 10회분 등 학습 지원 강화.

    5) 타 기관과 헷갈리기 쉬운 포인트

    • 대한검정회: 9급부터 운영(입문 친화, 객관식 많음, 난도 낮은 편).
    • 대한상공회의소: 전 문항 객관식(5지선다), 상시 운영, 실무 읽기 중심.
    • 한국어문회: 주관식 중심·깊이 평가 → 난도 높지만 학습 효용·공신력 큼.

    간단 비교

    항목 한국어문회 8급 대한검정회(입문)
    배정/문항 50자 / 50문 ≈30자 / 25문(예)
    유형 주관식 포함(정확 표기) 객관식 위주
    체감 난도 입문치고 조금 높음 낮음

    6) 2025년 운영 감각(예시)

    • 정기: 연 4회(2·5·8·11월 토), 4~8급은 오전 11시 시작이 일반적.
    • 수시: 주로 4~8급 대상, 지역 제한 있지만 빈도 높음 → 정기 놓쳐도 보완 가능.
      → 개인 기준으로 연 10회 내외 응시 플랜 설계 가능.

    7) 준비 팁(입문~중급 공통)

    1. 대표 훈음 리스트를 소리 내 2~3회독 → 오답노트를 독음/훈음/완성형으로 구분.
    2. 기출 3~5세트로 유형 적응(시간 배분 훈련: 문항당 40~60초).
    3. 카드·퀴즈화: 반의/상대, 빈출 성어·어휘를 소단위 반복.
    4. 정확 표기 체크: 맞춤법·띄어쓰기·받침 오기 방지.
    5. 상위 급수 노린다면 쓰기 파트(6급부터 본격) 조기 병행.

     

    • 10회”는 회차·급수·응시 기회가 뒤섞여 쓰이기 쉬운 표현입니다. 한국어문회 기준 10급은 없고, 정기+수시를 합치면 연 10회 이상의 응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 한국어문회는 난도는 높지만 국어 어휘·문해력 토대를 가장 단단히 만드는 시험 체계입니다. 기초(8급)에서 정확한 독음·훈음을 다지면, 국가공인(3급Ⅱ↑)까지의 로드맵이 매끄럽게 이어집니다.

     

     

    ⭐기출문제 다운로드⭐

     

    한국어문회 3급 10회.pdf
    0.59MB

     

     

    🙆‍♂️ 부족한 자료는 구하는 즉시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

     

     

    한국어문회 11회 기출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