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주관식 비중 80~90%, 장단음·약자까지.”
    제2회(초기 시행기)로 거슬러 올라가면, 한국어문회 시험의 ‘정통’ 난이도는 이미 완성형이었다.

     

    1) 시험의 위상과 제2회의 자리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시험은 국내 한자 평가의 표준 레퍼런스로 통한다. 목표는 세 가지다.
    ① 한국어(한자어)의 정확한 이해, ② 전통문화 계승, ③ 한중일 한자문화권 속 정체성 정립.
    1992년 12월 9일 제1회를 시작으로 2000년 11월 제17회까지 꾸준히 치러졌고, 그 초창기 회차 중 하나가 제2회다. 초기부터 대부분 주관식이라는 차별화된 철학을 견지하며, “읽고 쓰고 활용하는 진짜 실력”을 평가해 왔다.


    2) 체계와 등급 — “초기부터 완성도 높은 설계”

    한국어문회 시험은 현재 특급~8급의 다층 구조로 운영되고, 3급Ⅱ 이상은 국가공인이다. 등급의 성격을 핵심만 추려 보면:

    구분 공인/민간 읽기/쓰기 배정 한자(대표) 특징
    특급/특급Ⅱ 공인 5,978/3,500 · 4,918/2,355 국한혼용 고전을 ‘불편 없이’ 읽을 고급/중급
    1급 공인 3,500/2,005 고전 ‘초급’ 연구·독해를 위한 기준
    2급 공인 2,355/1,817 상용·인명·지명 기초한자 ‘활용’의 분수령
    3급/3급Ⅱ 공인 1,817/1,000 · 1,500/750 상용한자 활용의 중·초급
    4급~8급 민간 1,000/500 이하 동기 부여 및 기초 체력 형성

    포인트: 2급은 공인급수이면서 실사용 어휘권(상용·인명·지명)을 넓히는 실전 단계로 평가된다.


    3) 시행 정보 — 초기부터 정기화의 궤도

    • 연혁 감각: 제1회(1992.12.9) 직후의 제2회는 1993년 전후로 추정되는 초기 회차.
    • 현재 운영(예시): 2025년 기준 연 4회 정기 시행. (예: 제110회 2025.8.23 예정, 접수 7.14~7.18)
    • 응시 자격: 학력·연령·국적 불문. 특급/특급Ⅱ 응시 제한 폐지(과거 대비 완화).
    • 시험 시간: 2·3·3Ⅱ 60분, 1급 90분, 특급·준특급 100분, 4급 이하 50분.
    • 접수 방식: 인터넷 전용, 고사장 정원에 따라 조기마감 가능.

    4) 2급 출제·난이도 — “주관식이 체감 난도를 결정”

    문항 구성(2급)

    • 150문항, 합격 105점(70%)
    • 주관식 145문항, 장단음 5문항(객관식)
    • 대표 유형:
      • 독음(45): 두음법칙·속음·장단음 연계
      • 훈음(27): 뜻+소리 동시 확인
      • 쓰기(30): 획 하나 틀려도 오답 처리되는 엄격 채점
      • 완성형(성어 포함·~10), 반의/상대(~5), 동음이의어, 부수, 동의/유의, 뜻풀이, 약자, 장단음(5 객관식)

    왜 어렵나?

    • 배정 한자 ‘양’ + 주관식 ‘정확성’의 이중 압박
    • 장단음/약자/부수 등 현대 한국인의 체감 난도를 높이는 파트가 다수
    • 결국 “암기+활용+정확한 쓰기”가 모두 필요

    5) 다른 기관과의 비교 — “한국어문회는 ‘주관식’으로 승부”

    • 한국어문회: 주관식 80~90%, 장단음·약자 비중 높음 → 난이도 가장 높다는 평
    • 대한검정회: 한문학 중심, 상위급 논술 포함. 난이도 중간대
    • 한자교육진흥회: 혼합형, 상대적으로 쉬움
    • 상공회의소 한자: 전 객관식, 매우 쉬운 편(실무·읽기 중심)
      목표가 다르다. 한국어문회는 국어·전통·정체성 축에 방점, “깊이와 정확성”을 평가한다.

    6) 기출·교재·학습전략 — “합격은 결국 루틴”

    자료 접근

    • 제2회 원기출은 공개본이 드뭅니다. 대신 최근 회차 기출(공식/커뮤니티)을 패턴학습용으로 활용하세요.

    추천 루틴

    1. 공식/기본서 → 기출 반복: 배정 한자 범위를 빠짐없이 훑고, 회차형 기출로 출제 패턴 체화
    2. 쓰기 훈련 고정 슬롯: 매일 백지 쓰기(훈음 병기), 획·구성 정확도에 집착
    3. 사자성어는 스토리로: 고사 배경·용례까지 묶어 장기기억화
    4. 배점 큰 영역부터: 독음(45)·훈음(27) 선점, 완성형·뜻풀이로 안정 점수대 확보
    5. 장단음·부수는 전략적으로: 효율 낮으면 과감히 “선택과 집중” (예: 장단음 한 번호 고정 전략)
    6. 국어 감각 동원: 동의·반의·뜻풀이·완성형은 국어 어휘력이 성적을 끌어올린다
    7. 자전(옥편) 병행: 찾는 글자 주변을 함께 보는 주변학습 효과 극대화

    7) 활용 가치 — 시험을 넘어 ‘언어력’과 ‘경쟁력’으로

    • 문해력/어휘력 향상: 우리말의 다수를 차지하는 한자어 구조 이해
    • 진로·입시·채용: 3급Ⅱ 이상 국가공인, 생활기록부 등재, 일부 군 가산점·기업 가점 등 실질 혜택
    • 국제 소통력: 중·일 등 한자문화권 언어 학습의 공통 기반

    8) 결론 — 제2회가 보여주는 ‘한국어문회 표준’

    제2회는 초기이지만 이미 성숙한 난이도와 철학을 보여 준다.
    주관식 중심 체계, 장단음·약자까지 포괄하는 영역 설계, 상용부터 인명·지명까지 닿는 실전 어휘권—이 모든 요소가 한국어문회 시험을 “깊이 있는 한자 활용 시험”으로 굳혔다.

    합격의 본질은 단순하다:

    • 범위 전수(배정 한자) → 패턴 학습(기출) → 정확 쓰기(주관식) → 전략 배점(독음·훈음 우선).
      이 루틴을 성실히 돌리면, 2급의 높은 벽도 충분히 넘어설 수 있다.

     

     

    ⭐기출문제 다운로드⭐

     

     

    한국어문회 2급 02회.pdf
    0.43MB
    한국어문회 4급 02회.pdf
    0.37MB
    한국어문회 5급 02회.pdf
    0.28MB
    한국어문회 6급 02회.pdf
    0.30MB

     

    🙆‍♂️ 부족한 자료는 구하는 즉시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

     

     

     

    한국어문회 3회 기출문제